전체 글 171

[Ubuntu 18.04] 우분투 버전 확인

1. cat 명령어 사용 cat /etc/issue 2. 파일에서 정보 읽어오기 lsb_release -a cat 명령어를 사용해 해당 파일에 직접 접근하기 cat /etc/*release * 참고 : bit 확인하기 https://vongole-pasta.tistory.com/18 [Ubuntu] 사용중인 우분투가 32bit인지 64bit인지 확인하기 * 개인 공부 환경에 맞춘 기록 용도의 글입니다. Linux Kernel - uname (정석) uname -m // --machine - dpkg (libc 패키지의 버전이 나오기 때문에, 실제 컴퓨터 사양과 다른 경우가 있을 수 있다.) - ? dpkg -s.. vongole-pasta.tistory.com

OS/Linux (Ubuntu) 2020.12.28

[Jetson Nano 4GB-B] SD카드에 Jetpack 4.4 설치

* 개인 공부 환경에서 기록 용도로 작성된 글입니다. 1. 이미지 다운 공홈에서 받아도 6기가치곤 생각보다 금방 받아서 토렌트는 깔지 않았다. developer.nvidia.com/embedded/downloads Jetson Download Center Get downloadable documentation, software, and other resources for the NVIDIA Jetson ecosystem. developer.nvidia.com 2. 부팅용 SD카드 만들기 2-1. SD카드에 압축풀기 별 생각없이 바로 SD카드에 압축을 풀면 되겠지~ 하는 생각으로 진행하고 SD카드에 이미지 파일이 잘 들어가 있는 것도 확인했으나, 나노에 꽂으니 부팅이 안 돼서 아래 방법으로 진행했다. (확..

[QT Creator 5.14] Ubuntu에 QT Creator 설치하기 - 수정 중

* 개인 공부 환경에서 기록 용도로 작성된 글입니다. Ubuntu 18.04 에 QT Creator 5.14.2 설치하기 1. 패키지 리스트 업뎃 sudo apt-get update 2. 개발툴 (?) 패키지 설치 sudo apt-get install build-essential * 기존에 깔린 QT가 설치되어 있으면 삭제해야한다 sudo apt-get purge --auto-remove libqt4-dev (QT4버전) 큐티 공홈에서 우분투용 (현재 64버전뿐) 파일 다운 다운받은 파일은 실행 가능하도록 하려면 권한을 설정해줘야함 (별도 포스팅 링크 추가) 다운받은 폴더에 가서 chmod +x [다운파일] ./[다운파일] 로 실행. 설치 창이 뜨면 쭉 넘기다가 (기존 계정에 등록된 회사 바꿔야함) Se..

IDE/QT Creator 2020.12.24

[Ubuntu 18.04] Could not display "실행파일". There is no application installed for "executable" files. Do you want to search for an application to open this file?

* 개인 공부 환경에서 기록 용도로 작성된 글입니다. 문제 상황 우분투에서 QT creator를 설치하려고 run 파일을 다운받은 후, 실행시키려고 하니 아래와 같은 창이 떴다. Yes를 클릭해도 계속 뜨는 창ㅠ 실행파일을 실행하려면 프로그램을 깔아야했나 싶고 약간 당황했다. 검색하니까 생각보다 금방 해결되었다. 해결 방법 실행하려는 파일 오른쪽 클릭 - 설정(properties) - 권한 탭 (permission) - Execute 실행 체크박스에 체크 정상적으로 실행 완료

OS/Linux (Ubuntu) 2020.12.24

[Raspberry Pi 3 B] 라즈베리파이3과 PC간 시리얼 통신하기 (USB to TTL)

* 개인 공부 환경에서 기록 용도로 작성된 글입니다. * 원래 라즈베리파이4로 작업을 하다가, 부팅 이미지 변강하려고 부트 설정 막 바꾸다가 부팅시스템깨짐. 눈물 ㅠㅠ fsdk?로 복구하라던데, 난 단순히 이미지랑 로그 설정 건드린거니까 내부가 아예 깨지진 않았을 것 같고.. 일단 잘 아는 지인에게 수리를 부탁했다. 내가 하면서 글도 적고 싶었는데, 지금 시간이 너무 없어서..ㅠ (사진추가예정) 1. 라즈베리파이 설정 블루투스 꺼주기 : 시리얼 통신과 블루투스의 포트(?)가 서로 겹쳐서, 정상적으로 시리얼 통신을 하려면 블루투스를 꺼줘야 한다고 한다. sudo nano /boot/config.txt 해당 파일을 열어 맨 끝에 하단 문장을 추가한다. dtoverlay=pi3-disable-bt 블루투스 컨..

IoT/RaspberryPi 2020.12.24

[Raspbian] 명령어 모음

mkdir : 디렉토리 만들기 mkdir JJung : 현재 위치에 JJung 디렉토리가 생김 mv : 파일 옮기기 - 같은 폴더에서 같은 폴더로 옮김 = 이름 변경 mv file1 file2 : file1이 file2로 파일명 변경 됨. (디렉토리도 마찬가지) - 특정 파일을 특정 디렉토리로 이동 mv file1 dir1/ : file1이 dir1로 이동 됨. - 여러 파일을 특정 디렉토리로 이동 mv file1 file2 dir1/ : file1과 file2가 dir1로 이동 됨.

OS/Linux (Ubuntu) 2020.12.23

[Raspberry Pi4] boot/config.txt 에서 블루투스 설정 끄기

* 개인 공부 환경에서 기록 용도로 작성된 글입니다. 상황 시리얼 통신을 하려면, 같은 포트를 쓰는(?) 블루투스 설정을 꺼야 한다고 했다. config 파일의 제일 마지막 줄에 아래 문장을 추가하면 된다고 하는데, dtoverlay = pi3-miniuart-bt (pi3은 pi4로 바꾸면 될 것 같다.) 파일에 들어가서 확인해보니, [pi4] 항목에 아래 문장이 이미 존재했다. dtoverlay = vc4-fkms-v3d 결론 라즈베리파이4 블루투스 설정 끄기 1. config 수정 dtoverlay=disable-bt 2. 명령어로 직접 설정 dpkg -l|grep -i bluetooth 참고 : www.raspberrypi.org/forums/viewtopic.php?t=280177 how to ..

IoT/RaspberryPi 2020.12.23

[Ubuntu 18.04] E: Could not get lock /var/lib/dpkg/lock-frontend - open (11: Resource temporarily unavailable)

* 개인 공부 환경에서 기록 용도로 작성된 글입니다. 상황 처음 우분투를 깔고, apt 명령어를 사용하려고 할 때면 아래 에러가 떴다. E: Could not get lock /var/lib/dpkg/lock-frontend - open (11: Resource temporarily unavailable) E: Unable to acquire the dpkg frontend lock (/var/lib/dpkg/lock-frontend), is another process using it? 답답한 마음에 sudo 명령어 없이 막 쳤을 땐 이런 에러도 떴다. (이건 권한 문제라 sudo 치면 해결됩니당) E: Could not open lock file /var/lib/dpkg/lock-frontend - ..

OS/Linux (Ubuntu) 2020.12.22

[QT Creator] 회사에서 사용 시 License 비용

결론부터 얘기하면 무료입니다. 개발 과정 중에는 문제될 게 전혀 없는 커머셜 라이센스에요. 대신 개발 이후에 소스를 오픈 소스로 풀어야 한다는 조건이 붙는 것 같았습니다. (이 경우에도 완전히 무료인지는 모름) 해당 소스를 비공개하고 싶은 회사들이 요금을 지불하는 것 같더라구요. 큐티가 호환성이 좋고 깔끔하다보니 사용하는 회사가 점점 늘어나는 것 같습니다. 저는 이전 회사에서 3개월 미만으로 맛보기만 했던게 다인데요. 아쉬운 마음도 있었는데 이번 회사에서 또 사용해야 한다는 얘기를 듣고 좀 반가웠어요. 이번 프로젝트 얘기를 듣고 시작은 파이썬만 사용하는 단계의 수준으로 진행해도 되겠다 싶었는데, 파이썬도 QT도 C++ 기반인데다 나중에 어느 수준으로 진행될 지 모르기 때문에 결국 C++로 가야할 것 같네..

IDE/QT Creator 2020.12.21